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65 lines (36 loc) · 4.09 KB

0. Mac에서 CLion을 사용한 개발환경 구축하기 + CMake 알아보기.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65 lines (36 loc) · 4.09 KB

인텔리제이를 사용한 개발 환경에 익숙하므로 CLion을 사용하기로 했다.

  1. 터미널을 이용해 xcode를 설치한다. 명령어: xcode-select --install
    1. 이 과정을 통해 g++, gcc, lldb(LLVM 디버거)가 설치된다.
  2. CLion을 설치하고 사용한다.
    1. 추가로 컴파일러를 연결해줘야 한다고 하는데, 나는 그런 과정 없이 가능했다.

Mac에서 추가 설명

사이트의 댓글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지나가다 혹 다른 분들한테 도움 될까 싶어 댓글 남깁니다. 요즘 나오는 맥의 경우 clang이라는 애플 자체 컴파일러가 있어서 clang -o hello hello.c 같은 식으로 컴파일하셔도 무방합니다. 심지어 gcc명령어를 그대로 사용해도 (실제로는 clang이 실행되는 방식으로) 이상없이 컴파일됩니다. 사실 예전에는 맥에도 실제 GCC가 탑재되어 출시되었으나 GNU쪽에서 GCC의 라이센스를 GPLv2에서 GPLv3으로 변경하면서 애플에서 GCC를 제외할 수밖에 없게 된 것입니다 :)

clang은 애플 자체 컴파일러로, LLVM 프로젝트의 일부라고 한다.

스택오버플로우에서도 비슷한 글이 있다.

나야 학습 용으로 사용할 꺼니까 상관하지 않겠지만, 아마 xcode도 mac용으로 만들어진 거니까 실제 gcc가 아니라 clang으로 제공할 것 같다.

CLion

어셈블리어 읽어보기

파일을 우클릭하고 뜨는 메뉴의 마지막에 있는 Show Assembly를 열면 어셈블리어를 읽을 수 있다.

가이드

CMake

CMake 알아보기

CLion을 사용해 C 프로젝트를 만들면 CMake와 관련된 파일(CMakeLists.txt)이 생긴다.

CMake란 무엇이며 어떤 목적으로 사용할까?

아직 C언어의 구조를 잘 이해하지 못해서 자세한 사용 방법은 정리하지 않았다.

CMake는 빌드 파일을 생성해주는 프로그램이다.

CMake를 통해서 빌드 파일을 생성하면 빌드 도구를 통해서 프로젝트를 빌드한다.

CMake -> Build File(Build Tool) -> Execute File

빌드 도구는 make, ninja 등 여러 도구를 지원한다.

CMake는 지정한 운영체제에 맞는 Make 파일의 생성 및 관리만을 수행하기 때문에 OS에 무관하게 여러 환경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특징을 빌드 자동화, Meta Make, automation 또는 makemake 라고 부른다.)

또한 빌드 도구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서 더 쉬운 사용 방법과 관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된다고 한다.

빌드 도구란?

C/C++ 계열에서 주로 사용하는 빌드 도구로는 make, ninja가 있다. (ninja가 make를 느린 속도를 보완하기 위해 등장했다고 한다.)

이러한 빌드 도구들은 의존성 관리와 반복되는 빌드(컴파일,링킹)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다만 이런 빌드 도구는 복잡한 의존성을 가지는 경우 관리가 불편하고, 특정 환경(UNIX, Windows)에 의존한다는 단점이 있다.

References